공부와 행복
: 교육수준과 행복의 밀접한 연관성
한국 학생들은 학창시절 그 어느 나라 학생들보다 공부를 많이 한다(그림-1). 그러나 학습효율(학습에 투자하는 시간대비 학업성취도)은 OECD 주요 30개국 중 24위로 최하위권이다(그림-2). 또한 OECD국가 중 학업을 내적동기(그 자체로 즐겁고, 보람 있고, 가치 있어서 행동하려는 동기)에 의해 수행하는 순위는 58위로 조사대상 72개국 중 최하위권이다(그림-3). 이렇게 내적 동기에 의하지 않은 학습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현상을 반영하듯 한국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OECD 주요 30개국 중 1위로 나타났고(그림-4), 스트레스의 반대쪽에 있는 행복지수는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그림-5).
그림 1. OECD 주요국 청소년 공부시간. 한국은 30개국 중 1위이다.
그림 2. OECD 주요국 청소년 학습효율화지수(학업시간 대비 학업성취도). 한국은 30개국 중 24위이다.
그림 3. OECD 국가 학업성취도 상위 10개국의 학업내적 동기 순위
그림 4. OECD 30개 주요국 청소년 학업스트레스.
그림 5. OECD 주요국 학생 삶의 만족도.
자! 그럼 모든 지표들이 이러하니, 아이들에게 공부 열심히 하지 말자고 해야 할까? 공부 열심히 하면 행복해지지 않고, 열심히 공부해봐야 불행해지니 공부하지 말고, 놀아야 하나?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매우 극단적이고, 지혜롭지 못하다. 우리가 찾아야 하는 답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자기 스스로 공부할 것을 찾아 공부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공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스스로 공부할 이유를 찾아 공부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공부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라는 방향이 되어야지 ‘공부하지 말자’라는 방향이 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