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로 평가받는 것의 불행
: 또래집단보다 불행한 패션모델들

 

 

 

 

 

  패션쇼에 등장하는 모델들은 자신감 넘치는 표정과 워킹, 디자이너의 옷을 완벽 그 이상으로 소화해내는 신체 비율, 디자이너의 옷을 더 돋보이게 만들어주는 포즈로 청중을 압도한다. 모델만으로도 충분히 멋있고 아름다운데, 적절한 무대장치, 조명, 음악, 그리고 여기저기서 터지는 카메라의 플래시가 더해지면 전혀 다른 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 같은 느낌마저 든다.


  그렇다면, 이렇게 화려한 겉모습을 가진 모델들의 내면은 어떨까? 이들의 내면도 이들의 외모만큼이나, 자신감 넘치고, 아름다우며, 행복할까? Meyer와 동료들(2007)은 패션모델들의 행복과 모델들과 비슷한 또래의 일반인들의 행복을 비교함으로써 이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연구자들의 첫 번째 연구에는 패션모델 56명(여성은 63%)과 일반인 53명(여성은 63%)이 참여하였다. 먼저 참가자들은 인간의 3가지 기본적 욕구인 자율성(예: 나는 내 스스로 내 삶을 결정할 수 있다), 유능감(예: 나는 삶 가운데 내 역량을 증명할 기회가 충분하다), 관계성(예: 나는 언제든지 연락해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에 대해 7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Ilardi et al., 1993).


  그리고 자신의 현재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삶의 만족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에 대해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5: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고(Diener et al., 1985), 주관적 행복(Subjective Happiness Scale)에 대해서도 7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Lyubomirsky & Lepper, 1999).


  이어서 자기 사실화(Self-actualization) 척도를 통해 현실의 자신과 이상적인 자신이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문항들(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때도 내 감정에 솔직하다)에 7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고(Jones & Crandall, 1986), 일반적 건강 척도와 불안-우울 척도, 사회적 기능 척도, 자신감 상실 척도에 응답하였다(Shevlin & Adamson, 2005; Werneke et al., 2000).

 

 

 


표 1. 첫 번째 연구의 결과

 

  위의 표는 이 연구의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인간의 기본욕구(need satisfaction)의 측면에서 일반인들의 기본 욕구(M = 5.54, SD = .70)가 패션모델들의 기본 욕구(M = 5.12, SD = .59)보다 강하게 충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자율성(Autonomy), 관계성(Relatedness), 유능감(Competence)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행복과 관련된 측면(well-being)에서 일반인들의 행복이 패션모델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도 삶의 만족도, 주관적 행복, 자기 사실화의 모든 측면에서 일관성 있게 관찰되었다.
  아울러 패션모델들이 일반인들보다 건강 이상 징후(general health), 불안-우울, 사회적 기능장애, 자신감 상실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패션모델들이 유사한 연령대의 또래집단에 비해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라는 인간의 내면적 욕구가 적게 충족되고, 그에 따라 행복감이 낮아지며, 낮아진 행복감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의 두 번째 연구는 첫 번째 연구와 동일하게 진행하면서 인간의 기본 욕구 충족, 전반적 웰빙, 건강 이상 징후들이 실제 성격 장애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5명의 패션모델과 40명의 일반인이 참여하였다. 기본적 욕구 충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존감과 관계성을 측정하였고, 성격 장애 확인을 위해서는 DSM-IV에 있는 10가지 성격장애들(피해망상적, 조현증적, 정신분열형, 반사회성, 경계선, 연극성, 자기애성, 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성격장애) 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웰빙 측정을 위해서는 삶의 만족감과 주관적 행복을 측정하였고, 자기 사실화는 측정하지 않았다. 나머지 실험 재료와 절차는 첫 번째 연구와 동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