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나의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한다면 공식적으로 내 나이가 2년이나 줄어든 것이다. 2023년 6월 대한민국이 만 나이 사용을 도입하게 되면서부터이다. 고작 두 살이지만 마치 20년은 더 어려진것 처럼 앞으로 더 많은 도전과 실패를 해봐도 괜찮다는 안도감과 지난 나의 미성숙한 생각과 행동을 좀 더 용인하고 기다려 줄 수 있는 여유마저 갖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삶이 2년밖에 남지 않았다면 이라는 생각이 스쳤다. 실패를 굴하지 않고 도전하겠다는 열심은 온데 간데 없이 사라지고, 나의 소중한 가족, 지인들과 보내던 친밀한 시간이 매우 간절해졌다. 찰나의 생각이였지만 내 생애 주기의 끝자락을 떠올리며 급격한 삶의 가치와 자세의 변화를 경험했다.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면 바로 “나이(age)”다. 그 누구도 나이 먹는 것을 (시간이 흐르는 것을) 늦출수도 멈출수도 되돌릴 수도 없다. Well-aging은 가능해도 Anti-aging은 불가능하다. 내 삶의 마지막에서 마주하게 될 삶의 가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일까? 난 앞으로 무엇을 위해 살게 될까.
사회정서적선택이론( Socioemotioal Selectivity Theroy : SST)은 연령에 따른 삶의 목표와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론(Carstensen, 1991, 1995)이다. 이 이론은 연령에 따라 미래 시간 관점(Future Time Perspective, FTP), 즉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인식하는지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젊은 사람들은 나이 든 사람들에 비해 개방적 시간 관점을 가지고 있어 미래를 더 멀리 보고 있는 반면, 나이 든 사람의 경우 시간이 제한되어있다고 인식한다. 노년기에 접어들면 사회 관계망은 축소되지만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발달적 욕구가 더욱 커지는데 이 이유는 바로 자신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고 생각하게되면서 삶의 동기와 목표를 외제적(성공, 돈)인 것에서 내제적(친밀한 대인 관계, 삶의 의미)인 것으로 옮겨왔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젊은 사람들은 미래의 투자를 중요하게 여기고, 미래에 잠재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식 습득, 경력 쌓기, 새로운 사회적 관계 개발과 관련된 목표에 집중한다. 반면, 나이 든 사람들은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접촉에는 관심이 적다. 미래 시간적 관점이 제한된 노인들은 현재 그리고 정서적으로 중요한 관계와 감정 조절에 더욱 집중한다. 이들의 관심은 정서적 의미를 높이고 심리적 안정을 갖는 것으로 향한다. 이미 선택된 친밀한 타인들과 관계를 맺어 정서적 만족을 보다 쉽게 보장받는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은 노인의 심리적 행복뿐만 아니라 신체적 행복을 위한 적응적 전략이기도 하다(Besser & Priel, 2005; Lapierre et al., 2001). 사회 관계의 질은 모든 연령에게 중요하지만(Diener & Seligman 2002), 외로움을 피하고(Besser & Priel, 2005), 삶의 의미를 느끼는 것이 특히 노년층에게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결과는 바로 이들이 가진 제한된 시간 관점과 내제적 삶의 목표 때문일 것이다(Mushtaq et al., 2014).
나이 드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했던가. 하지만 미래 시간 관점의 변화는 가능하다.
사회정서적선택이론은 미래 시간 관점을 변화시키므로 연령과 관련된 삶의 목표를 수정하거나 심지어 뒤집을 수 있다고 말한다(Fredrickson & Carstensen, 1990; Lang & Carstensen, 2002). 즉, 미래 시간 관점을 바꾸었을 때 연령에 따른 삶의 목표, 우선 순위 차이는 사라질 수 있다.
한 연구에서 사스 전염병과 같이 삶의 유한성을 촉발한 사회적 사건이 젊은 성인들로 하여금 보다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목표에 집중하고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회적 파트너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선호하도록 변화시켰다는 것을 밝혔다 (Fung & Carstensen, 2006). 코로나 팬데믹 또한 여러 연령에 걸쳐 높은 감염률과 사망률을 보였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사회적 동기의 차이를 살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Jiang 과 Carstensen(2023)은 팬데믹이 정점인 2020년과 백신이 도입된 2021년 사람들의 사회적 동기를 측정하여 비교했다. 연구결과 팬데믹이 정점일 때는 연령에 상관없이 정서적으로 의미있는 목표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파트너)를 사회적 동기로 선택했다. 하지만 백신을 사용할 수 있는 시기에는 팬데믹 이전에 수행된 결과와 같이 사회적 선호에 연령별 차이가 존재했다.
생물학적 나이는 바꿀수 없지만 시간을 향한 관점은 보다 유연하다.
다음은 나의 미래시간관점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주는 설문이다.
1 | 나의 미래는 나를 기다리는 기회들로 가득하다 | 일반문항 |
2 | 나는 앞으로 새로운 목표를 많이 세울 것이다 | 일반문항 |
3 | 나의 미래는 가능성으로 가득하다 | 일반문항 |
4 | 인생의 마지막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았다 | 일반문항 |
5 | 나의 미래가 무한하게 느껴진다 | 일반문항 |
6 | 앞으로 나는 원하는 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 일반문항 |
7 | 내 인생에는 새로운 계획을 세울 시간이 충분히 있다 | 일반문항 |
8 |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 역계산 문항 |
9 | 미래의 가능성은 제한되어 있다 | 역계산 문항 |
10 | 나이가 들면서 나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고 느낀다 | 역계산 문항 |
11 | 인생의 마지막 순간, 함께 하고 싶은 사람은? | 일반문항 |
각 문항에 대해 “1= 전혀 그렇지 않다” 부터 “7= 매우 그렇다” 사이에 선택해보자.
점수가 높을수록 열린 미래 시간 관점을 가졌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나의 미래 시야는 몇점인가?
[출처]
Besser, A., & Priel, B. (2005).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in late adulthood: Persaonlity predispoitions, and predictive factor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3(4), 351-382. https://doi.org/10.2224/sbp.2005.33.4.351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 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3), 165-181.
Fredrickson, B. L., & Carstensen, L. L. (1990). Choosing social partners: How old age and anticipated endings make people more selective. Psychology and Aging, 5(3), 335–347. https://doi.org/10.1037/0882-7974.5.3.335
Lang, F. R., & Carstensen, L. L. (2002).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17(1), 125–139. https://doi.org/10.1037/0882-7974.17.1.125
Lapierre, S., Bouffard, L., Dubé, M., Labelle, R., & Bastin, É. (2001). Aspirations and well-being in old age. In Life goals and well-being: Towards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pp. 102-115). Hogrefe & Huber Publishers.
Mushtaq, R., Shoib, S., Shah, T., & Mushtaq, S. (2014).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psychiatric disorders and physical health? A review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lonelines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JCDR, 8(9), WE01–WE4. https://doi.org/10.7860/JCDR/2014/10077.4828
Jiang, L., & Carstensen, L. L. (2023). COVID-19 reduced age differences in social motiv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13, 1075814.